본문 바로가기
IT/알고리즘

알고리즘 - 해시법(1)

by Sungjun_ 2020. 10. 26.

이진 검색에 이어 해시법입니다.

 

해시법

해시법은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를 간단하게 연산으로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데이터의 검색뿐만 아니라 추가, 삭제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배열에서 각각의 원소 값을 배열의 크기로 나누어 원소에 접근할 때 기준 값으로 합니다.

원소 값 5 6 20 31 37 53 78
해시값
(7로 나눔)
5 6 6 3 2 4 1

 

 

해시값을 배열의 인덱스로 생각하고 다시 만들어 보면

인덱스 0 1 2 3 4 5 6
원소 None 78 37 31 53 5 6
              20

 

 

만약 숫자 21을 추가한다면 다른 원소들을 이동할 필요 없이

21을 7로 나눈 값인 0에 넣어주면 됩니다.

인덱스 0 1 2 3 4 5 6
원소 21 78 37 31 53 5 6
              20

 

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6번 인덱스를 보면 원소 값이 6, 20 이렇게 2개가 있습니다.

이렇게 한 인덱스에 저장하는 값이 중복되는 현상을 충돌이라 하고

해결방법으로 체인법과 오픈 주소법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체인법과 오픈 주소법 중에서 체인법을 하겠습니다.

 


체인법

체인법이란 해시값이 같은 데이터를 체인 모양의 연결 리스트로 연결하는 방법을 말하며

오픈 해시법이라고도 합니다.

 

체인법 그림

 

위 그림과 같이 해시값이 같은 원소를 연결 리스트를 사용해 체인 모양으로 연결합니다.

 

노드

이 작은 사각형들 하나 하나를 노드라 했을 때

같은 해시값을 갖는 원소는 연결 리스트의 앞쪽 노드를 참조합니다.

 

이번 코드는 2개의 파일로 작성하겠습니다.

하나는 class를 정의하는 파일(chain_hash.py), 하나는 실제 구동 파일(test.py)입니다.

 

 

chain_hash.py

 

from __future__ import annotations
from typing import Any, Type


class Node:
    def __init__(self, value: Any, next: Node) -> None:
        self.value = value  # 값
        self.next = next  # 뒤쪽 노드 참조

 

위 그림에서 언급한 노드의 구조를 만들어줍니다.

 

 

class ChainHash:

    def __init__(self, capacity: int) -> None:
        self.capacity = capacity  # 배열의 크기 지정
        self.table = [None] * capacity  # 배열 선언

    def hash_value(self, value: Any) -> int:
        return value % self.capacity  # 해시 값을 구해줌

 

배열의 크기를 지정하고, 지정한 크기만큼 배열을 만들어줍니다.

hash_value()는 입력한 값의 해시 값을 구해줍니다.

 

    def search(self, value: Any) -> Any:
        hash = self.hash_value(value)   # 입력 값의 해시값 저장
        p = self.table[hash]    # 해당 인덱스의 값을 가지는 노드

        while p is not None:
            # 해당 인덱스가 비어있지 않으면 값이 있기 때문에 계속 찾아줍니다.
            if p.value == value:
                return hash     # 입력 값을 찾으면 해시값을 리턴해줍니다.
            p = p.next  # 다음 노드를 보게합니다.

        return None     # 입력 값을 찾지 못했다면 None 리턴합니다.

    def add(self, value: Any) -> bool:
        hash = self.hash_value(value)   # 입력 값의 해시값 저장
        p = self.table[hash]    # 해당 인덱스의 값을 가지는 노드

        while p is not None:
            if p.value == value:    # 값을 넣어야 하는데 이미 있으면 안되기 때문에 넣어줍니다.
                return False
            p = p.next  # 다음 노드를 보게합니다.

        temp = Node(value, self.table[hash])    # 넣을 값이 배열 안에 없다면 노드로 만들어 주고
        self.table[hash] = temp     # 노드를 추가합니다.
        return True

    def printed(self) -> None:      # 원소들이 제대로 된 위치에 들어갔는지 출력해봅니다.
        for i in range(self.capacity):
            p = self.table[i]
            print(i, end='')
            while p is not None:
                print(f'  -> {p.value}', end='')
                p = p.next
            print()

 

 


test.py

from enum import Enum
from class_test import ChainHash

Menu = Enum('Menu', ['add', 'search', 'printed', 'exit'])
# 메뉴를 만들어줍니다.

def select_menu() -> Menu:  # 메뉴를 선택합니다.
    s = [f'({m.value}){m.name}' for m in Menu]
    while True:
        print(*s, sep = '   ', end='')
        n = int(input(': '))
        if 1 <= n <= len(Menu):
            return Menu(n)

hash = ChainHash(13)	# 크기가 13인 배열을 만들어줍니다.

while True:
    menu = select_menu()

    if menu == Menu.add:
        value = int(input('추가할 값을 입력하세요.: '))
        if not hash.add(value):
            print('추가 실패')
        else:
            print('추가 성공')

    elif menu == Menu.search:
        value = int(input('검색할 값을 입력하세요.: '))
        t = hash.search(value)
        if t is not None:
            print(f'검색한 값을 갖는 인덱스는 {t}입니다.')
        else:
            print('검색한 값이 없습니다.')

    elif menu == Menu.printed:
        hash.printed()

    else:
        break

 


결과창

원소 추가하기

원소가 제대로 추가됐는지 3번을 눌러 확인해봅시다.

 

printed 화면

각 값들을 13으로 나누어 보면 제대로 들어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earch로 올바른 인덱스 값이 나오는지 확인해봅시다.

 

search 화면

23을 입력했을 때 10을 리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도 같은 체인법이지만 hashlib 사용해 int형 말고 str형도 해보겠습니다.

'IT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 해시법(3)  (0) 2020.11.02
알고리즘 - 해시법(2)  (0) 2020.10.27
알고리즘 - 이진 검색  (0) 2020.10.25
알고리즘 - 선형 검색  (0) 2020.10.21
1일 N알고리즘 - #44  (0) 2020.07.01

댓글